본문 시작

지명유래

연혁

  • 고구려때 욱오현이 설치되었다가 신라 제35대 경덕왕 때 백오현으로 개칭 고려말까지 이름
  • 태조원년(1392) 효공왕후가 평창 이씨라 하여 지군사로 승격
  • 1895년(고종32년)에 지방관제를 고치면서 군내면(郡內面), 남면, 북면으로 분할관리되었고,
  • 1914년 3월에 군내면(郡內面), 남면, 북면을 병합하여 평창면으로 부르다가,
  • 1979년 5월 1일에 읍으로 승격하면서 지금의 평창읍이라 지명되었습니다.

지역특성

  • 우리 평창읍은 군청소재지로서 군의 남부에 위치하며 행정, 교육, 문화의 중심지입니다. 주위에는 남병산(南屛山:1,150m)·백덕산(白德山:1,350m)·삼방산(三芳山:980m) 등이 솟아 있으나, 계방산(桂芳山:1,577m)에서 발원하여 읍내를 가로지르는 평창강이 심하게 곡류하면서 유역에 평지를 이룬 덕분에 주진리·후평리·약수리 등에서 벼농사 중심의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사과, 멜론, 오미자, 산마늘·곤두레 등 산나물과 인삼 등 새로운 작목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평창읍 행정리 마을의 유래

리별 마을의 유래
상리 본래 읍내지역으로 상리는 평창읍 시내의 위쪽에 있다하여 “상리”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상리교를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한 마을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성황당 마을을 병합하여 다시 상리가 되었다. 삼방산 약수, 샘골을 골짜기로 샘물이 맑고 깨끗하며, 총 67세대, 145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신선하고 맛있는 상리 송어양식장, 전국 제일의 평창두부가 생산되는 마을입니다.
중1리 중리는 읍내 중심지역으로 방내(坊內)중앙이 되므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터거리, 관문거리, 불근당(절터), 포교당을 병합하여 중리가 되었으며, 1970년 중1리와 중2리로 분구되었다. 현재는 한전, 농어촌진흥공사, 바위공원 캠핑장, 페러글라이딩 착륙장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연화유치원, 평창교육지원청, 평창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어 지역인재 양성의 중심마을이며,,최근 노람뜰 개발과 수석의 전당, 노산 개발 등 평창읍 개발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지역으로 평창읍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를 자랑하며, 총 488세대 1,144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중2리 중리는 읍내 중심지역으로 방내(坊內)중앙이 되므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터거리, 관문거리, 불근당, 포교당을 병합하여 중리가 되었다, 이곳에 군청. 읍사무소, 보건소, 우체국, 전화국, 문화원, 문화관, 남녀 중.고등학교가 있었다. 1970년 중1리와 중2리로 분구되었다. 예전에는 평창장이 섰던 곳이며, 지금은 평창중학교, 춘천지방법원평창등기소, 국민건강보험공단평창영월지사, 평창선거관리위원회, KT평창지점, 평창읍사무소, 평창제일감리교회, 천주평창교회, 양지아파트 등이 위치해 있어 명실상부 평창읍 행정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마을입니다. 총 223세대, 421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하1리 읍내지역으로 방내(坊內) 아래쪽이 되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향교촌과 아래들을 병합하여 하리로 통칭하였다. 1970년 하1,2리, 1974년 하1리에서 하3리, 1980년 하3리에서 하4리와 하5리가 분할되었고, 1989년 하3리에서 하6리가 행정리로 분할되었으며, 1982년 농협군지부가 위치하여 왔으며, 천변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상가 밀집지역으로 음식점과 편의점, 의류점, 방앗간, 가전 판매점, 가전 수리 등 온갖 종류의 상가가 위치해 있으며, 총 89세대, 17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하2리 읍내지역으로 방내(坊內) 아래쪽이 되며 순전히 논 벌판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향교촌과 아래들을 병합하여 하리로 통칭하였다. 1970년 하1,2리, 1974년 하1리에서 하3리, 1980년 하3리에서 하4리와 하5리가 분할되었고, 1989년 하3리에서 하6리가 행정리로 분할되었으며, 평창읍내 아래쪽인 서쪽에 있는 들판이라고 해서 “하평”이라고 불리는 마을로, 옛날에는 이마을에서 옹기를 만들어 왔었으며, 예로부터 조둔리 사람들이 읍내장터를 다닐 때 서산재를 넘어 하평마을 어딩이골을 지나 약수물을 마시며 다녔다하였고 지금은 총 85세대, 20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하3리 읍내지역으로 방내(坊內) 아래쪽이 되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향교촌과 아래들을 병합하여 하리로 통칭하였다. 1970년 하1,2리, 1974년 하1리에서 하3리, 1980년 하3리에서 하4리와 하5리가 분할되었고, 1989년 하3리에서 하6리가 행정리로 분할되었다. 하3리는 시루목 고개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로 평창읍 최초의 아파트인 평창1차 아파트가 위치해 있는 마을이며 현재는 평창우체국과 평창도서관, 평창군문화복지센타, 노성정이 있으며, 노성산 충혼탑은 평창읍 하3리 시가지 북쪽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이 비는 6.25당시 공산군과 싸우다 산화한 영령들의 넋을 모신 비이다. 비의 전면에는 고 초대대통령 이승만 박사의 휘호로 비문이 새겨져 있으며 비의 후면에는 군 475위, 경찰 28위, 합503위의 영령 이름이 새겨져 있다,하3리는 총 215세대, 41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하4리 읍내지역으로 방내(坊內) 아래쪽이 되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향교촌과 아래들을 병합하여 하리로 통칭하였다. 1970년 하1,2리, 1974년 하1리에서 하3리, 1980년 하3리에서 하4리와 하5리가 분할되었고, 1989년 하3리에서 하6리가 행정리로 분할되었다. 하4리는 5일마다 장이 서는 곳이며, 평창지구대, 평창올림픽 재래시장이 있어 활기가 넘치는 마을로 평창올림픽 재래시장은 메밀부치기와 전병 등 각종 부치기가 유명하여 많은 사람이 찾고 있는 곳이며, 평창시외버스터미널이 있어 평창을 찾는 방문객에게 첫 선을 보이는 마을로, 총 136세대, 28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하5리 읍내지역으로 방내(坊內) 아래쪽이 되며 순전히 논 벌판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향교촌과 아래들을 병합하여 하리로 통칭하였다. 1970년 하1,2리, 1974년 하1리에서 하3리, 1980년 하3리에서 하4리와 하5리가 분할되었고, 1989년 하3리에서 하6리가 행정리로 분할되었다. 현재 하5리는 평창농협과 평창축협, KT&G평창지점(담배인삼공사) 등의 공공기관과 평창중앙감리교회, 평창올림픽 재래시장이 위치해 있으며, 태장위너빌, 효성타운, 보림아트빌 등의 아파트가 새롭게 들어선 마을로 읍 승격 이후 꾸준히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총 285세대, 605명이 거주하고 있다.
하6리 읍내지역으로 방내(坊內) 아래쪽이 되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향교촌과 아래들을 병합하여 하리로 통칭하였다. 1970년 하1,2리, 1974년 하1리에서 하3리, 1980년 하3리에서 하4리와 하5리가 분할되었고, 1989년 하3리에서 하6리가 행정리로 분할되었다 하6리는 평창군청(1982년), 군의회, 평창경찰서, 평창초등학교, 평창향교, 평창군산림조합, 대한지적공사평창지사, KBS평창중계소, 평창군보훈회관 등이 위치해있는 명실 공히 평창군 행정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라연립과 대동월드 등 행정복합도시로서의 주거기능도 겸하고 있습니다. 총 244세대, 50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천변리 본래 읍내 남쪽 냇가(사천강)로 된 지역으로 1914년 천변리가 되었다. 원래는 강변에 위치하여 하리에 속하였는데 옛날 이곳에 살던 토호(土豪) 이씨, 지씨, 김씨 세사람이 흐르는 강을 바라보며 술을 나누다가 지씨가 제의하기를 우리 동네가 하리에 딸려 있을게 아니라 동네 이름을 지어 부르자하여 글에 달통한 지씨가 천변리라고 벽에 써붙어 불려온 것이 오늘까지 불리어 온다. 옛날에는 아래장터로서 장날마다 붐비었으며 상가와 주점이 밀집해 있었다고 한다 현재 총 58세대, 13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종부1리 읍내 남쪽 지역으로 마을에 있는 산이 종(鍾)처럼 생기었다 해서 종부(鍾阜)라고 불렀다 한다, 1914년 행정구역 조정통합에 따라 음지촌, 양지촌 이포, 삼방을 병합하여 종부리가 되었다. 1970년 종부1,2리가 분구되었고, 1974년 종부2리에서 3리가 분구되었다. 그리고 옛날에 마을 한가운데로 하천이 흘렀다고하여 속개 또는 솟갯들이라는 속칭이 있으며, 마을 앞으로 평창강이 휘돌아 흐르고, 뒤로는 남산이 포근하게 둘러싸고 있는 배산임수 지세로 주택이나 건물을 지을 때 이상적으로 여기는 배치로 평창읍의 새로운 주택가로 부상하고 있는 마을이며, 남산에는 송학루가 있는데 1928년 당시 평창군청 2층 문루이던 것이 헐리게 되자 이 지방 유생들과 유지들이 뜻을 모아 현위치에 당시 모습 그대로 이축한 것으로 정면 3칸(7m), 측면 2칸(3m)의 누각으로 팔작지붕이다. 이 정자 주위에는 많은 노송이 있었고 여기에 학들이 모여 서식했다하여 남산정이라고 불린다. 최근 이 정자를 중심으로한 그 일대를 남산 소공원으로 가꾸며 공원 입구에 [정광용 선정비]를 비롯한 선정. 선덕비를 모아 비석군을 만들었다.현재 평창군보건의료원과 평창종합운동장, 국민체육진흥센타, 평창군문화예술회관, 남산 산림욕장 등이 위치해 있는 마을로서 문화, 예술, 스포츠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으며, 총 359세대, 77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종부2리 읍내 남쪽 지역으로 마을에 있는 산이 종(鍾)처럼 생기었다 해서 종부(鍾阜)라고 불렀다 한다, 1914년 행정구역 조정통합에 따라 음지촌, 양지촌 이포, 삼방을 병합하여 종부리가 되었다. 그리고 속개 또는 솟갯들이라는 속칭이 있고 1970년 종부1,2리가 분구되었고, 1974년 종부2리에서 3리가 분구되었다 종부2리는 해가 잘 들고 양지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양지말”이라고 불리는 마을로 지금은 터만 남아있지만 평창군수 이지직과 퇴계 이황선생이 시를 지어 찬양한 여사정(학학정)이 있던 마을이다. 지금은 평창사과, 고추와 찰옥수수를 많이 재배하며, 총 49세대, 10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종부3리 읍내 남쪽 지역으로 마을에 있는 산이 종(鍾)처럼 생기었다 해서 종부(鍾阜)라고 불렀다 한다, 1914년 행정구역 조정통합에 따라 음지촌, 양지촌 이포, 삼방을 병합하여 종부리가 되었다. 그리고 속개 또는 솟갯들이라는 속칭이 있고 1970년 종부1,2리가 분구되었고, 1974년 종부2리에서 3리가 분구되었다. 종부3리는 양지말의 반대쪽에 위치하며,“음지말”로 불리며, 삼방산 기슭아래 넓게 분포되어 있는 마을로서 육묘를 위한 유리온실이 자리잡고 있으며, 사과, 수박, 오디 등 선진농법과 특화된 작물을 재배하여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평창읍에서 우수한 한우를 가장 많이 키우고 있는 마을이며, 총 97세대, 219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노론리 본래 뇌룬리라고 하였으며, 옛날 사색당파 분쟁으로 노론파가 반대파의 세에 몰려 이 마을로 들어와 피하여 살았다는 데서 노론이라고 불려졌다고 전하여 온다, 읍의 동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거릿말, 재밑을 병합하여 법정리명이 노론리로 명명되었다. 노론리에는 분뇨처리장이 위치해 있으며, 페러글라이딩 활공장으로 가기위해 오르는 마을로 총 50세대, 94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이곡리 본래 마을 이름이 “구르니”, “구론”이라 했으며, 마을 형세가 “귀”처럼 생기었다고해서“귀골”이라고도 불리워왔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조정에 의해 마을지형에 맞추어 리명을 정하는 것이 옳다는 중론에 따라 법정리명을 이곡리로 명명하였다. 이곡리 마을은 찰옥수수 명품화 마을로 선정되어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는 농업 우수마을이며, 감자꽃스튜디오를 중심으로 문화마을로서 거듭나고 있으며, 총 51세대, 8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조동리 본래 고길리와 노론리 사이에 있으므로 “샜골”이라고 하였다. “비조탁목지형”의 산세로 딱따구리가 나무를 쪼는 형상이라고 해서 새솔이라고도 불리어져 왔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화덕”, “탑상골“, ”산제곡“을 합치어 법정리명을 조동리로 명명하였다. 조동리는 산악스포츠의 메카로 발돋음하고 있으며, 총 35세대, 5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고길리 본래 긴 골짜기를 따라 마을이 형성되었으므로 “골길”이라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유전, 후덕, 백암을 병합하여 고길리라 칭하였다. 예전에는 무연탄광이 있어 탄을 캐내었내었으며, 지금은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으로 유명한 장암산을 오르는 관문이기도 하며, 총 32세대, 57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지동리 본래 마을을 “못골”이라 불렸다. 옛날부터 연못이 있어 오는데 못물이 3번만 넘치면 그해에 반드시 대풍을 이룬다는 전설이 있다. 1914년 법정리명이 지동리로 명명되었다. 지금은 “별천지마을”로 유명하며, 꾸준한 활동으로 새농어촌건설운동 우수마을로 선정되는 등 의식수준 향상과 잘 사는 농촌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마을로 총 34세대, 7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유동리 평창읍의 남부지역으로 본래 버들골이라 불렸다. 마을의 지리적 형태가 버드나무 형국에서 지명이 유래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설정에 따라 안말, 점말(버덩)을 병합하여 유동리가 되면서 남면에서 군내면(평창면)으로 편입되었다. 옛날 이 마을에 절이 있었다고 하며 5층 석탑이 전해지고 있다. 이 절터는 현재까지 확실한 전설이나 유래가 없으며 5층석탑과 탑 뒤에 금당으로 생각되는 건물지의 주춧돌이 남아 있어 이 일대가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단층기단 위에 세운 5층 석탑(3.78m)은 각 부분에 약간의 파손은 있으나 대체로 원형을 잘 간직한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강원도 유형문화재 29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또한 유동둔치가 유명하여 여름철 피서객들이 많이 찾고 있으며, 총 59세대, 11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약수리 본래 마을 어귀에 샘물 약수가 흘러 약수리라 불리게 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보안도에 딸린 약수역이 있어서 역촌이기도 한 마을이다. 옛 약수리에는 샘물이 흘렀는데 피부병에 걸린이가 몸을 씻고는 깨끗하게 나았다고 한다. 이 물이 영엄하다는 소문이 널리 퍼져 물 맞으러 오는 사람이 길을 매우고 마을이 온통 혼잡하였다고 하며, 지금도 약수터 물이 흘러 나오고 있으며, 복원사업도 진행되고 있는 마을로 총 81세대, 17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조둔리 읍의 서부 서쪽 약수리를 지난곳에 위치하며 남면 지역으로서 본래는 조뚜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조둔리가 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조둔리는 새 조자, 진칠 둔자의 한자 의미에서 보듯 높은 곳에서 보면 마치 아늑한 형세의 새둥지 모양 같이 생겼으며, 예전에는 피난처로 여겼던 마을이라고 합니다. 인심이 좋고 정이 넘치는 마을로서 총 67세대, 115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천동리 본래 남면의 지역으로 좋은 샘이 있었으므로 샘골, 생골이라고 불렸는데 이조 중종때부터 마을을 정동으로 부르다가 임진란 뒤에 천동이러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평창군내 국도변에 위치한 마을중에서 유일하게 거룻배를 이용하여 국도와 연결하고 있는 마을이나 지금은 다리를 이용하고 있으며 총 75세대, 14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도돈리 본래 남면 지역으로서 사천강이 적벽을 휘돌아 흘러서 마치 버선같이 둔덕이 되어 있으므로 도둔리라 불렸던 것인데 예날 삼둔지지인 도둔(도돈), 들둔(입탄), 조둔을 일러 피난처로 여겼던 지역의 한곳이라고 전하여 온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조정에 따라 도돈리로 명명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도돈리는 평창강의 맑고 깨끗한 기운을 받아 깨끗한 마을을 자랑하며, 총 106세대, 18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응암리 본래 남면의 지역으로서 읍의 남부 동쪽에 있다. 옛날에 지형이 매화락지형이라고 해서 매화라는 속명으로 마을을 이름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평창군수 권두문을 비롯한 관원과 백성들이 마을 앞 절벽에 난 굴로 피난할 때 매와 함께 피난했다고 하여 “응암리”라 부르게 되었다. 2개의 굴은 관굴과 민굴로 나뉜다. 이때 매가 위 아래 굴을 왕래하면서 통신을 하였다 한다. 1914년 “뒤다미”를 병합하여 응암리가 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응암리는 아름답고 웅장한 절벽 아래 평창강이 심하게 곡류하며 마을을 감싸 흐르고 있으며, 총 31세대, 4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마지1리 읍의 남부 동남쪽에 위치하며 남면의 지역이었는데 옛날 물이 솟아오르며 용마가 나왔다는 용물추리가 있으며, 용물이에서 말이 났다 하여 마지리라 불려졌다고 전하여 온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진도, 고산골, 속골을 병합하여 마지리로 법정리명이 명명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마지진, 마지나루가 오래전에 있어 뱃길로 왕래하던 마을이었으나 1956년 다리(도돈교)가 가설되어 나루가 없어졌다. 적벽강(사천강)남쪽 마을이며, 1970년 1, 2리로 분구 되었다. 42번 국도를 따라 농토와 마을이 동서로 형성되어 있으며, 맑고 깊은 평창강이 마을 앞을 휘돌아 흐르는 마을로 총 84세대, 14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마지2리 읍의 남부 남쪽에 위치하며 남면의 지역이었는데 옛날 물이 솟아오르며 용마가 나왔다는 용물추리가 있으며, 용물이에서 말이 났다 하여 마지리라 불려졌다고 전하여 온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진도, 고산골, 속골을 병합하여 마지리로 법정리명이 명명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1970년 1, 2리로 분구 되었다. 마지2리는 마지1리 용물추리에서 태어난 용마가 주인인 어린 아기장수가 묻힌 시동에서 죽었다는 말무덤이 전해오며, 매년마다 용마와 어린 장수의 넋을 기리기 위해 용마제를 지내고 있는 마을이며, 평창읍 제일의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고추가 유명하며, 재가 많고 골이 많아 “절골과 항물내기” 등 전해오는 전설이 있으며, 총 46세대, 7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대상리 읍의 남부 서쪽 남단에 위치하여 남면에 속했던 마을로 대얏골 위쪽이 되므로 웃대얏골에서 노궐동, 안정동, 능암동, 구룡동을 병합하여 대상리라 하여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대상리 마을은 한평미술관, 여명악단 등이 있는 문화예술마을이기도 하며, 빼어난 절경과 풍부하고 맑은 평창강으로 인해 해마다 많은 피서객들이 찾는 마을로 총 76세대, 12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대하리 읍의 남부 서쪽 남단에 위치한 마을로 남면의 지역으로서 대얏골 아래쪽이 되므로 아랫대얏골이라 하였는데 1914년 아랫대얏골에서 연봉정, 가정동, 삼정동, 사천, 북변을 병합하여 대하리라 하여 군내(평창)면에 편입 되었다. 대하리는 평창강을 중심으로 강 남서쪽은 절경을 자랑하는 산들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으며, 강 북동쪽으로는 거슬갑산 자락에 집들이 듬성듬성 풍경화처럼 들어 있는 마을로 평창강 물줄기와 강바람으로 산나물을 키워내어 갖가지 산채가 으뜸인 마을입니다. 매년 “곤드레축제”를 개최하며, 총 69세대, 101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입탄리 읍의 서부 서쪽에 있는 마을로 본래 들뚜리, 들둔이라고 불렸다. 사방 높은 산이 둘러 있는 골짜기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조항, 소동원, 조동을 병합하여 입탄리가 되면서 남면에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일명 야둔이라고도 했다. 입탄리에 있는 자라고개를 경계로 영월군 주천면과 맞닿아 있으며, 전국 수석 3대 산지 중 한 곳으로써 특히 석회석이 유명합니다. 총 58세대, 8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향동리 읍의 북부 서쪽골로 당초 북면에 속했던 마을이다. 어금말 마을의 느티나무 거목의 수령이 300년이나 넘는 것으로 보아 이전에 마을이 형성 되었음직하다 봄이면 산 기슭을 타고 살구꽃이 마을 가득 만개한다. 마을에 살구나무가 많아 살구실 또는 행동리라 불려져 왔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강가골, 김가골을 병합하여 법정리명이 향동리가 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향동리에는 수정산이 있어 봄부터 가을까지 많은 등산객이 찾고 있으며, 총 45세대, 79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여만리 읍의 북부 북동쪽에 있다. 본래 북면 지역으로서 평창강가에 들이 넓어 논을 뜨니 만명이 먹고도 남는다고 여만리라 했다. 고려때 부터의 곡창지대로 양곡이 많이 났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갯뒤, 구마니를 병합하여 법정리명 여만리가 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현재 농업기술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마을 앞 강을 넘어 보이는 산이 노산으로 마을에서 보면 앞이 된다고 해서 앞산이라 부르고 현재 총 67세대, 139명이 거주하고 있다.
후평리 읍의 북부지역 즉 방내(상,중,하,천변리) 뒤쪽 들에 있는 마을이라하여 뒷들이라고 불려져 왔다. 四財山(사재산) 줄기의 수리봉(550m), 산봉우리가 뾰족한 삿갓봉과 용산을 병풍삼은 뒤뜰마을로 이무기가 소를 끌고 들어가 잡아먹었다고 전해지는 허강소가 있으며, 뒷들에 용산정[龍山亭]이 있었고 그 용산정 아래쪽에 나루터가 있었다는 이야기다. 허궁소[허강소]위와 용산정 아래 허강소길 끝이 바로 나루터 자리라고 한다. 메밀꽃 필 무렵의 주인공도 이 나루터를 건너 다녔을 터이다. 1920년대에 콘크리트 다리가 건설될 때까지는 통행량이 많아 사람은 물론 화물과 화물을 실은 당나귀는 물론 우마차도 건널 수 있는 뗏목처럼 넓직한 배가 있어 사람,당나귀,화물을 함께 싣고 인력으로 삿대로 강바닥을 밀어 배를 운행했다고 한다. 옛부터 답작 농가가 읍내에서 가장 많았고 경지정리가 잘 되어 논 농사가 앞섰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증항·시루목”을 병합하여 법정리명이 후평리가 되면서 북면에서 군내(평창)면으로 편입 되었다. 현재 평창소방서, 상하수도사업소, 정미소, 산림조합 재재소, 묘포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총 106세대, 197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주진1리 읍의 북부지역 동북쪽 4km 지점에 위치하며 본래 북면 지역으로서 두나루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날 하촌 배터거리에서 나룻배로 사람과 우마차가 강을 건너 지금의 후평 동북쪽 영림서 종묘장 거리를 지나통행하였다. 일제 때(1934) 주진교가 놓여졌고 80년대 초 새 주진교가 건설되어 놓여 졌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암동, 한천동, 부동을 병합하여 법정리명 주진리가 명명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고 1974년 주진1, 2리로 분구되었다. 현재 주진1리에는 주진초등학교와 주진농공단지가 위치해 있으며, 총 239세대, 43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주진2리 읍의 북부지역 동북쪽 6km 지점에 위치하며 본래 북면 지역으로서 두나루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날 하촌 배터거리에서 나룻배로 사람과 우마차가 강을 건너 지금의 후평 동북쪽 영림서 종묘장 거리를 지나통행하였다. 일제 때(1934) 주진교가 놓여졌고 80년대 초 새 주진교가 건설되어 놓여 졌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암동, 한천동, 부동을 병합하여 법정리명 주진리가 명명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고 주진2리는 뱃재를 경계로 하여 방림면과 접해있으며, 방림면 쪽으로 넘어가는 길 옆의 산계곡을 따라 남쪽에서 북쪽으로 고인돌 9기가 줄을 지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고인돌 주변으로 농경지가 있고, 그 일대에서 민무늬토기가 출토된 점으로 보아 청동기시대의 주거지였음을 알 수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섭동굴이 위치해 있으며, 1974년에 주진1리와 주진2리로 분구되어 오늘에 이르고 총 103세대, 19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용항리 읍의 북부지역 강변에 위치한 마을로 북면 지역이었다. 마을에서 보이는 남쪽의 산이 용의 목처럼 생기었고 용당이 있다는 데서 유래된 지명이다. 여기서 후평리와 통하는 고갯길이 있는데 산등성이 동남쪽으로 내리 뻗는다. 본래는 “미루목”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페합에 따라 북쪽 “골마을”“섶다리”를 병합하여 용항리로 법정리명이 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용항리는 평창강이 마을을 휘돌아 감으며 천혜 절경을 자랑하고 예전에는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전단토가 있었으며, 회양목이 자생한 마을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며, 총 40세대, 68명이 거주하고 있다.
임하리 원례 북면 지역의 한 마을이었다. 뒷산에 숲이 우거지고 많았으므로 “숲에” 또는 “수패”라고 불리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임하리”라 하여 군내(평창)면에 편입 되었다. 교통이 다소 불편한 편이나 토질이 기름지고 경지정리가 되어 마을이 짜임새가 있고 생활이 윤택하다. 평창강을 사이에 두고 계장리와 용항리, 산을 사이에 두고 다수리와 접해있으며, 총 50세대, 81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계장리 읍의 북부 “옥고개”에서 서북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읍사무소에서 4km 떨어져 있다. 읍에서 북쪽으로 포장국도를 달리다 후평리 다수삼거리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면 옥고개가 바라보인다. 고개를 돌아 내려 닫는 첫 마을이 계장리이다. 본래 강 가의 벌판에 있다하여 “개장”이라 하였다가 해방 전후 잠간이나마 “닭계”라는 별칭이 있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설정에 따라 법정리명 계장리라 하여 군내(평창)면에 편입돠었다. 계장리는 평지와 골짜기가 많고 동산이 마을 가운데 있어 풍광이 좋은 마을로서 북부 5개 마을의 관문이기도 하며 총 52세대, 77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다수리 읍의 북부지역 논 벌판으로 이뤄진 마을로 북면 지역이었다 본래 장수하는 사람이 많아 다수(多壽)라고 불리웠으며, 평창강가의 마을 중에서 물이 가장 많다고 하여서 다수(多水)라 하였다고도 전하여 온다. 1910여년전 뒷산의 벌채로 마을에 물이 흔하고 샘물이 많이 생겼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뒷말(암반치), 방축매기, 산제당을 병합하여 법정리명 다수리가 되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다수리는 경지정리로 마을이 반듯하고 북부권 마을 중 가장 많은 인구수와 벼농사를 자랑하며, 총 85세대, 154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하일리 읍 소재지 북서쪽의 서출동류수 형태의 마을이다. 본래 하씨가 살았다고 해서 ‘하일’이라고 부르며, 물푸레 나무가 많다하여 “물푸레”라고도 불리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페합에 따라 주좌리, 송봉내, 하수청을 병합하여 법정리명 하일리가 되면서 북면에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하일리는 영월군 주천면으로 넘어가는 중무재와 옛날 근처 마을에 욕심 많은 사람이 벼락을 맞아 바위가 되어 옮겨 왔다는 벼락바우, 맑고 깨끗한 하일계곡을 자랑하는 마을로서 총 44세대, 72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원당리 읍의 북부 서북쪽 백덕산 아래 중턱에 있는 북부지역에서도 높은 지대에 있는 마을이다. 고려 때 원나라의 원군이 나라에 침입하여 싸움에 패하고 도주하다 이 산골에 들어와 숨었다 하는데 본래 원당사라는 절이 있고, 집터로서 최고의 으뜸 마을이라 하여 “원당”이라고 불리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동, 직동, 유곡을 병합하여 법정리명 원당리가 되면서 북면에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원당리는 백덕산 철쭉 능선의 등산로와 맑고 깨끗한 원당계곡이 유명하며, 해심이 바위 주변으로 아름드리 천연 주목 군락지가 형성되어 있는 마을이기도 하며, 총 22세대, 4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뇌운리 읍의 북부 북쪽지역의 평창(사천)강을 끼고 있는 마을이다. 옛날 이조, 조선시대세조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한양 서울에서 강릉부사가 임명되어 마을을 지나다가 문재를 넘게 되었다 부사 일행이 문재를 거의 넘으려할 무렵 천동번개와 비를 바위밑에서 피하고 구름속 멀리 인가가 보였다. 마치 한폭 그림같은 풍경이었다 이때 부사는 몸을 일으켜 “뇌운!”이라고 외쳤다. 천둥 번개가 칠 때마다 멀리 마을이 보였다고 하여 “뇌운”이라 부리게 되었다. 부사는 마을에 용산을 만들어 놓았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어둔이, 아계동, 굴아우, 직동, 흑강을 병합하여 법정리명 뇌운리로 부르면서 군내(평창)면에 편입되었다. 뇌운리는 수려한 경관과 맑고 깨끗한 계곡의 뇌운계곡이 유명하며, 하방림 앞강의 물길을 따라 조금 내려가면 평창강과 계촌천이 합쳐지는 합천소가 있으며 뇌운계곡은 이곳에서부터 평창읍 뇌운리까지 약 4km에 이르는 평창강을 따라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고 있으며, 어족이 풍부하고 시원한 강바람 때문에 여름철 피서객이 많이 찾는 곳이다. 특히, 5월에는 강을 따라 피는 철쭉이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곳으로 여름철 레프팅 등의 레져 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마을로 총 54세대, 84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부서연락처
  • 담당부서 : 평창읍
  • 담당팀 : 총무
  • 전화번호 : 033-330-2611
  • 최종수정일 : 2023-08-02 18:18:22
※ 게시글의 경우, 게시글에 안내된 전화번호로 문의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